함수 7

[Python] 파이썬 모듈 활용하기

모듈을 불러오는 방법은 세 가지 방법이 있다. import 모듈 모듈을 가져오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그 모듈의 함수를 사용하려면 모듈을 import한 다음에 [모듈.함수] 으로 사용하면 된다. import 모듈 as 모듈 별칭 모듈이름이 길면 모듈의 함수를 사용할 때마다 긴 이름을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어서 이를 별칭으로 만들어서 별칭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별칭.함수] 방식으로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from 모듈 import 함수 사용하고 싶은 함수만 가져오고 싶을 때는 from 뒤에 사용할 모듈의 이름을 쓰고 다음으로 import 뒤에는 사용할 함수명을 기입하면 된다. 여기서 import * 은 "모듈에 있는 모든 함수를 사용하겠다"는 것이다.

Python 2021.01.30

[Python] 파이썬 딕셔너리 관련 함수 정리 - keys, values, zip

keys() 함수 : 딕셔너리 내부 키들만 추출해서 리스트형식으로 반환하는 함수 values() 함수 : 딕셔너리 내부 값들만 추출해서 리스트형식으로 반환하는 함수 zip(a, b)함수 : 두 변수(리스트, 튜플 등)를 매개변수로 넣어주면 딕셔너리로 만들어주는 함수 keys 함수 딕셔너리의 Key만 뽑아주는 함수. 반환값을 사용하려면 리스트 또는 튜플 형태로 변환 필요. 딕셔너리.keys() values 함수 딕셔너리의 Value만 뽑아주는 함수. 반환값을 사용하려면 리스트 또는 튜플 형태로 변환 필요. 딕셔너리.values() zip 함수 집합 변수를 만들어주는 함수. (묶음 형태의 딕셔너리, 튜플, 리스트으로 만들수도 있다.) 변환값으로 사용하려면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로 변환해야 함 zip(변수,..

Python 2021.01.29

[파이썬] 함수 매개변수 활용 (심화) - 3

이전 포스팅에서 기본적인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렸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여러 종류의 매개변수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매개변수의 종류로는 가변 매개변수, 기본 매개변수, 키워드 매개변수로 총 3개의 매개변수가 있습니다. 1. 가변 매개변수 파이썬의 print()함수 같은 경우는 인자의 개수가 여러개가 들어가도 출력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면, print("안녕","하세요","저는","보롱남편","입니다")로 여러개의 문자열 인자를 선언해주어도 이러한 입력들을 정상적으로 출력합니다. 이와 같이 매개변수의 개수가 명확하지 않거나 여러개가 있어야 하는 경우 사용하는 것이 가변 매개변수입니다. def 함수이름(매개변수, 매개변수, ... , *가변매개변수): 코드... 가변 매개변수..

Python 2021.01.20

[파이썬] 함수 매개변수 활용 (기본) - 2

파이썬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언어에서 사용하는 함수는 매개변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매개변수란 함수를 호출할 때 input(입력)으로 작용하여 내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변수입니다. 매개변수로 데이터 input(입력)을 받아서 이를 가지고 기본적인 연산을 하는 등의 처리를 하여 출력(output)을 낼 수 있습니다. 매개변수를 갖는 함수의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def 함수이름(매개변수, 매개변수, ... , 매개변수): 코드 코드 ... 함수이름 다음에 나오는 ()괄호 사이에 매개변수를 지정해줄 수 있고 여러개 지정하게 되면 , 콤마로 구분하여 지정해줍니다. 아래 예제는 문자열과 정수를 매개변수로 받아서 문자열을 출력하는 횟수를 정수로 정하고 실제 출력하는 예제입니다. # n : 출력할 횟수 ..

Python 2021.01.20

[파이썬] 함수의 정의 - 1

함수는 한마디로 '코드의 집합'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숫자 a와 b를 더하는 프로그램을 만든다고 했을 때 아래와 같이 코드를 구성하게 됩니다. a = 5 b = 7 sum = 0 sum = a + b print(sum) 여기서 한 개의 프로그램에 a와 b를 더하는 기능을 여러번 반복하게 되었을 때 두 수의 합을 구하는 코드를 아래와 같이 반복해서 복사/붙여넣기 하게 될 것입니다. # 5 + 7을 출력 a = 5 b = 7 sum = 0 sum = a + b print(sum) # 3 + 5를 출력 a = 3 b = 5 sum = 0 sum = a + b print(sum) ... .. . 이는 설명을 위해 간단한 코드로 나타내었지만, 더 어렵고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를 여러번 복사/붙여..

Python 2021.01.20

[Python 기본] 문자열 관련된 기본 함수 정리

1. format() 함수 : 문자열 출력 1.1 문자열, 정수, 실수, boolean 변수 출력 print("{0}".format(10)) # 10 출력 # 변수형과 상관없이 한번에 출력도 가능하다 print("{0}, {1}, {2}, {3}".format(10, 25.5, "문자열", True)) # 10, 25.5, 문자열, True 출력 2. upper()와 lower() 함수 : 문자열 내에 있는 문자들을 전체 대문자로 변환 or 소문자로 변환 String_a = "Hi Hello" # 대문자로 변환 print(String_a.upper()) # HI HELLO # 소문자로 변환 print(String_a.lower()) # hi hello # 문자열 변수 자체는 변하지 않음 print(Str..

Python 2021.01.13